sitemesh는 레이아웃을 꾸며주는 기술이다. 웹페이지들을 보면 어떤 화면을 출력하던지 항상 같은 위치에 존재하는 태그들을 볼 수 있다.(메뉴나 하단내용 등) 같은 기술로는 tiles나 velocity 등이 있지만 이것들과 sitemesh는 동작하는 구성이 다르다. Tiles나 Velocity 방식이 전체 페이지 중 내용 부분에 해당하는 코드만을 생성하는 방식이라면, SiteMesh는 완전한 HTML 페이지를 생성한 뒤 Decorator라는 패턴을 사용하여 데코레이터HTML 페이지에 레이아웃을 입히는 방식이다. sitemesh 설정 1. 스프링 메이븐의 라이브러리를 디펜던시한다.(pom.xml) (그룹아이디 : opensymphony, 아이팩트아이디 : sitemesh) 2. sitemesh.xml과 ..
1.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지도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네이버 개발자 센터에서 키를 발급받아야한다.(http://developer.naver.com) 들어가서 키 발급/관리 메뉴에서 지도 api키를 발급한다. 테스트할 서버의 url이나 로컬url(포트포함)을 써주고 키발급을 하면된다. 2. 지도를 보기 위해서 기본 골격을 jsp페이지에 넣어준다.(여러가지 기능을 테스트 해보고 싶으면 네이버 개발자 api참고) - 자바스크립트코드 Colored By Color Scripter™ 1 Colored By Color Scripter™ 1 2 3 4 5 6 7 8 9 10 window.onload = function(){ new nhn.api.map.Map('map',{ point : mapPoint, zoom:10,..
구글차트로 방문자수를 일주일 단위로 집계하려고 하다 보니 매주 월요일 0시가 되면 방문자수가 카운트되는 DB가 초기화가 되게 해야되서 스케쥴러를 찾다가 쿼츠 스케쥴러를 찾았다. (사실 스프링에 @scheduled 라는 스케쥴러를 지원하는 어노테이션이 있지만 나중에야 알았다....-_-) 1. Maven에 의존 라이브러리 주입(pom.xml) 그룹아이디 : org.quartz-scheduler 아티팩트아이디 : quartz 2. QuartzJobBean추상클래스를 상속받아 executeInternal()메서드를 오버라이딩 하는 클래스를 작성한다. 이 메서드에 스케쥴러가 돌아가는 시점에 수행 할 코드(작업)를 정의한다. BoardService라는 객체는 sql을 수행하는 dao단을 호출하는 비즈니스 로직 클..
contentType이란 프로퍼티를 명시하여야 한다.